반응형 전체 글24 [팁] vi 설정하기 vi(Visual editor)는 1976년도에 UNIX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오픈 소스 문서 편집기 입니다. 아직도 터미널에서 간단한 편집을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편집기 입니다. 리눅스에서는 vi에 추가적 확장 기능을 추가한 vim(vi improved)을 주로 사용을 합니다. 요즘에는 우분투에서도 프로그래밍을 할 때 vim보다는 Microsoft사의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하지만 터미널로 연결 했을 때에는 어쩔 수 없이 vim을 사용하게 됩니다. vim은 많은 플러그인(plug-in)을 지원하며 추가 패키지(package)를 설치하면 매우 유용 합니다. 먼저 다음과 같이 vim과 필수 패키지를 설치 합니다. $ sudo apt install vim $ sudo apt ins.. 2022. 12. 28. [팁] 우분투 파일 시스템을 윈도우즈에서 공유하기(samba) 윈도우즈에서 우분투의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는 방법으로 삼바(samba)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최근 프로그래머들은 우분투에 직접 Microsoft사의 Visual Code 프로그램을 통해서 개발환경을 우분투에 구현을 하다보니 윈도우즈와 공유를 할 필요성은 많지 않고, 또한 삼바가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에 점점 사용하는 빈도 수는 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의 소스 관리프로그램 깃(git) 을 사용하면서 윈도우즈와 우분투 간 직접 공유보다는 깃-허브(git-hub)를 통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나와 같이 좀 오래된 프로그래머들만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삼바(samba) 설치 삼바는 다음과 같이 설치를 합니다. # sudo apt install samba 삼바(samba) 유저(user) 등록 삼바의 유저는.. 2022. 12. 28. [팁] 우분투 ssh server 설치하기 우분투 20.04.x 버전 설치 후에 ssh(Secure Shell)로 연결을 시도하면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연결이 되지 않는 것은 ssh server가 기본으로 설치가 되지 않기 때문 입니다. 다음과 같이 ssh server를 설치 합니다. #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보통 위와 같이 설치를 끝내면 바로 ssh로 연결이 가능하나 연결이 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서비스(service)를 실행 합니다. # sudo service ssh start 2022. 12. 28. [팁] 우분투 root 계정 활성화 초창기 우분투는 root계정으로 설치를 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보안문제로 인하여 최근 우분투의 경우에는 설치 후에 root 계정이 비활성화 되었고 sudo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유저(user) 계정으로 설치가 됩니다. 우분투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사용자가 접근을 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su (subsitute user)와 sudo 명령어가 있습니다. su (subsitute user) 명령어는 우분투에 추가되어 있는 다른 유저(root를 포함)로 로그인을 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다음과 같이 유저(user)를 생략하면 관리자 권한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 su 우분투 설치 후에 위와 같이 su를 실행하면 "su: Authentication failure"와 같이 오류 메시지가 출력 됩니다.. 2022. 12. 28.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